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NRMSE
- MySQL
- 평가지표
- pytorch
- 동차좌표계
- x-ray
- pm2
- ssl
- procedure
- Homogeneous Coordinates
- Cost Function
- kernel
- ubuntu
- coursera
- ml
- error
- relaxation time
- Emoji
- Dual energy X-ray
- https
- AWS
- EC2
- Anaconda
- object detection
- MRI
- git
- nodejs
- CT
- Map-reduce
- FSL
- Today
- Total
목록Tool/AWS (9)
Pay it Forward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K0a9/btqCUyrAIy1/79Cb7AnI7zjfsIjtZXOLpk/img.png)
SSL 이란? 보안은 중요하다고 하지만 쉽게 무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SSL역시 굳이 해야하나 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2012년부터 법으로 회원가입을 받는 모든 사이트에 대해서 SSL 보안을 의무적으로 실시해야한다는 규제가 생겼기 때문에 회원가입 기능이 있다면 SSL은 선택이 아닌 의무입니다 (만약 회원가입 기능이 있음에도 http 통신을 한다면 약 3000만원의 벌금을 내야한다고 하네요) SSL이란 TLS와 개념으로 http를 https로 바꿔주는 보안 프로토콜입니다 http는 데이터 전송시 암호화를 진행하지 않아 보안에 취약하지만 https는 암호화하여 통신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좋습니다 AWS에서는 ACM (Amazon Certificate Manager)를 통해 SSL 통신을 제공합니다 ACM을 통..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EdIaz/btqCRzyrKMH/KPPtiykUhjDWRDzK2uFeJ0/img.png)
ELB란? ELB (Elastic Load Balancing)는 클라이언트의 접속에 의한 과부하를 여러대의 서버로 분산하여 서버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입니다 ELB는 트래픽 분산 / 자동 확장 / IPv4 / IPv6 / SSL 등과 같은 서비스들을 제공합니다 생성한 EC2 인스턴스를 ELB에 연결하여 보겠습니다 EC2 인스턴스에 탄력적IP를 연결하셨으며, 이를 로드밸런서에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 사진에서의 Application Load Balancer가 아닌, Network Load Balancer를 선택하고, IPv4주소 선택 부분에서 "탄력적 IP 선택"을 누르시고, 연결하고자 하는 탄력적 IP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이전 게시글] ACM을 이용하여 SSL 취득하기 참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KmFT/btqCRy7eONL/EV36TBNRsWz9KoaPKD21a0/img.png)
서비스를 배포하기 위해서는 도메인이 필수입니다 도메인을 통해 IP로는 나타낼 수 없는 자신의 서비스에 대한 아이덴티티를 도메인을 통해 나타내는 것은 물론 사용자들도 편하게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AWS의 EC2인스턴스와 도메인을 연결하여 보겠습니다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도메인 취득 2. Route53을 이용하여 도메인과 EC2 인스턴스 연결 도메인 취득하기 도메인은 기본적으로 비용이 들어갑니다 다만 무료로 도메인을 취득할 수 있는 곳들도 있으나 해당 도메인들은 불안정하므로 toy-project가 아닌 실비스를 생각중이시라면 유료 도메인을 사용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유료 도메인은 가비아, 카페24, 고대디 등 유명한 도메인 구매 사이트에서 손쉽게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AWS에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2rW9/btqCQ4efl7D/5We2t5aWdpfG22iMZoQJtk/img.png)
탄력적 IP란? AWS에서 제공하는 강력한 클라우드 컴퓨팅 EC2는 인스턴스를 키고 끌때마다 IP가 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와 연동을 하거나 도메인을 연결하는 등 고정적인 IP가 필요한 서비스에서 인스턴스를 재가동할때마다 IP가 바뀌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는 서비스가 바로 AWS의 elastic IP, 탄력적 IP입니다 탄력적IP 생성 방법 다음과 같이 EC2 인스턴스에 탄력적 IP를 할당해보았습니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탄력적IP를 프리티어 인스턴스에 연결을 해놓으면 비용이 청구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상황들에서는 비용이 청구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1. 탄력적IP를 받고 어떤 인스턴스에도 연결하지 않는 경우 2. 프리티어가 아닌 유료 인스턴스에 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tGZZY/btqCNHDGVzw/0wcr58PrEJK9lMjKdQdmYK/img.png)
AWS에서 제공하는 인터넷용 스토리지(strage) 서비스인 S3를 생성하고 IAM을 이용하여 리소스들을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해보겠습니다. S3란? IAM이란? - S3 : (Simple Storage Service)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인터넷용 스토리지 서비스. 웹 등에서 사용되는 사진, 텍스트 등 여러 데이터를 손쉽게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 IAM: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AWS 리소스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 권한을 부여 혹은 제한하여 리소스 보관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S3 생성 방법 퍼블릭엑세스차단설정은 S3 인스턴스를 만든 이후에도 자유롭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만약 퍼블릭엑세스차단에 체크를 할 경우 외부에서의 데이터 접근이 자..
AWS 서비스를 사용하던 중 직접 겪은 과금 원인들입니다 :( - 탄력적 IP를 할당받고 인스턴스를 중지한 경우 탄력적 IP를 할당 받은 인스턴스를 중지시키게 되면 해당 탄력적 IP가 붕 뜨게(?!)되어 과금이 발생합니다. 프리티어로 할당받은 인스턴스를 가리키다가 해당 인스턴스를 끄게 되면 탄력적 IP가 무엇을 가리키는지 알 수 없게 되므로 과금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탄력적 IP는 AWS EC2 서비스를 사용할 때 굉장히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 - 여러 지역에 인스턴스를 만들어 놓은 경우 분명히 모든 인스턴스를 중지 혹은 삭제했는데도 Dash Board가 폭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처음에는 아직 중지가 적용이 안된것으로 착각하였으나 알고보니 다른 지역(오른쪽 상단에 나타나는 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XtkuP/btqBphz4QPG/Q1V2IgAsSZ8P8ytFUTTR80/img.png)
AWS에서 제공하는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를 생성하여 사용해 보겠습니다 AWS의 RDS를 이용하면 따로 DB 운영을 할 필요 없이 AWS에서 관리 및 운영을 해주므로 매우 편리합니다 EC2에 보안그룹 생성하기 이렇게 생성한 보안그룹 을 RDS에서 선택해 줄 것입니다 RDS 생성하기 MySQL WorkBench에 DB연동하기 - Hostname : 앞에서 복사한 RDS의 [엔드포인트 및 포트]를 입력합니다 - Username : RDS를 만들 때 정했던 [마스터 사용자 이름]을 입력합니다 - Password - Store in Vault : RDS를 만들 때 정했던 [마스터 암호]를 입력합니다 정보를 모두 입력한 후에는 TestConnect..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jUh5y/btqBiDagWUs/14YusK46sO4tteDBafj971/img.png)
생성한 AWS EC2 인스턴스를 푸티(Putty)를 이용하여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혹시 인스턴스를 아직 생성하지 않으신 분은 아래 게시물을 참고해주세요!) 인스턴스 생성하기 AWS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클라우드 컴퓨팅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플랫폼 AWS에서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AWS란? EC2란?? - AWS : (Amazon Web Service)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Amazo.. artiiicy.tistory.com 푸티를 통해 EC2 인스턴스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존에 발급받은 Private Key를 변환해주어야 합니다. 기존 발급받은 key는 .pem 형식이며 푸티에서는 이를 .ppk 형식으로 바꿔 주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