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ap-reduce
- ubuntu
- MySQL
- AWS
- Emoji
- FSL
- Homogeneous Coordinates
- error
- procedure
- EC2
- pm2
- coursera
- Anaconda
- ssl
- pytorch
- Cost Function
- git
- Dual energy X-ray
- MRI
- NRMSE
- relaxation time
- nodejs
- 평가지표
- ml
- x-ray
- https
- object detection
- CT
- 동차좌표계
- kernel
- Today
- Total
Pay it Forward
[AWS] 로드밸런서(ELB) 생성하기 본문
ELB란?
ELB (Elastic Load Balancing)는 클라이언트의 접속에 의한 과부하를 여러대의 서버로 분산하여
서버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입니다
ELB는 트래픽 분산 / 자동 확장 / IPv4 / IPv6 / SSL 등과 같은 서비스들을 제공합니다
생성한 EC2 인스턴스를 ELB에 연결하여 보겠습니다
EC2 인스턴스에 탄력적IP를 연결하셨으며, 이를 로드밸런서에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 사진에서의 Application Load Balancer가 아닌, Network Load Balancer를 선택하고,
IPv4주소 선택 부분에서 "탄력적 IP 선택"을 누르시고, 연결하고자 하는 탄력적 IP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HTTPS 통신 역시 가능하게 하려면 기존 EC2 인스턴스의 보안그룹은 다음과 같이
HTTPS에 대한 인바운드 규칙이 있어야 합니다
Route53을 통해 도메인과 EC2 인스턴스를 연결한 경우에는
도메인과 로드 밸런서로 연결되도록 설정합니다
Route53에 들어가 기존 EC2 인스턴스와 연결되어 있던 호스팅 영역에
[ A유형 / 별칭 : 예 / 별칭 대상 : 생성한 ELB ] 로 설정한 후 레코드 세트 저장을 클릭합니다
'Tool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CM을 이용하여 SSL 취득하기 (0) | 2020.03.22 |
---|---|
[AWS] 도메인과 서버(EC2) 연결하기 (0) | 2020.03.21 |
[AWS] EC2 + 탄력적IP로 고정 IP만들기 (2) | 2020.03.21 |
[AWS] S3 생성하기 + IAM 설정하기 (2) | 2020.03.19 |
[AWS] 과금 원인 (0) | 2020.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