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git
- Dual energy X-ray
- 평가지표
- ubuntu
- error
- object detection
- MRI
- AWS
- Emoji
- ssl
- procedure
- pm2
- MySQL
- 동차좌표계
- relaxation time
- coursera
- EC2
- Homogeneous Coordinates
- NRMSE
- ml
- Anaconda
- FSL
- Cost Function
- x-ray
- pytorch
- https
- nodejs
- kernel
- CT
- Map-reduce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75)
Pay it Forward

동차좌표계는 뭘까? 컴퓨터그래픽스 분야 및 OpenGL에서 주로 나오며 본인의 경우 X-ray를 공부하다가 접하게 된 개념으로, 위키백과에 따르면 Homogeneous Coordinates(=Homogeneous Space)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 n차원 사영 공간을 n+1개의 좌표로 나타내는 좌표계 " 위의 정의에 단순히 숫자 3을 대입해보면, 3차원 사영공간을 4개의 좌표로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이 4개의 좌표를 (x,y,z,w)라고 하자. 3차원을 나타내므로 x,y,z는 각각 x좌표, y좌표, z좌표를 나타낼 것이다. 그렇다면 w는 무엇을 나타낼까? w가 0이라면 선(vector)을, 1이라면 점(point)를 의미한다. "w=0" means "$(x, ..

ROC curv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ROC curve는 classification에서 자주 사용되는 evaluation metric이다. (엄밀히 말하면 AUC가 자주 사용된다.) 항상 직관적으로 줄임말의 어원을 통해 해당 단어의 성질을 파악하고자 노력하는데, ROC는 잘 파악이 안된다. 그래도 막무가내로 파악을 해보자면.. 병이 있다고(Positive) 혹은 없다고(Negative) 판단을 하였을때, receiver가 어떻게 판단하여 작동할지를 표시해 놓은 curve... 가 될지 모르겠다. 괜히 직관적으로 이해해보려 한걸지도 ^^; 쨋든, ROC는 Sensitivity와 Specificity의 관계를 그래프(curve)로 나타낸 것이다. (Se..

Jupyter 가상환경 Kernel 생성하기 conda acvivate [env name] # 가상환경 실행하기 ex. conda activate temp_env : temp_env이라는 이름의 가상환경 실행. conda install ipykernel # ipykernel 다운받기 $ python -m ipykernel install --user --name [env name] --display-name [표시될 Kernel 이름] # Kernel 만들기 ex. python -m ipykernel install --user --name temp_env --display-name QSMnet : temp_env 가상환경에 QSMnet이라는 이름의 Kernel 생성. 이후에 Jupyter noteb..

Error 내용 : 해결법 : 다음과 같이 명령어 입력. cd ~ # home 디렉토리로 이동 source ~/anaconda3/etc/profile.d/conda.sh # 스크립트 파일 수정 $ conda activate [env name] # 가상환경 실행

** 본 글은 Principles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Dwight G. Nishimura)의 책을 공부한 게시글입니다. Chapter 2. Preliminaries 해당 챕터에서는 MRI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수학, 신호 사전지식을 소개하고 있다. 2.1 Complex Numbers 복소수 c는 다음과 같이 실수부(real)와 허수부(imaginary)로 나눌 수 있다. c=a+ib 이를 직각좌표 형식으로 나타내었다고 하며, i=√−1, a는 실수부, b는 허수부를 의미한다. 이러한 복소수 c는 다음과 같이 지수 형식으로도 나타낼 수도 있다. c=Aeiϕ=A(cosϕ+isinϕ) A는..

** 본 글은 Principles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Dwight G. Nishimura)의 책을 공부한 게시글입니다. Chapter 1. Introduction 1.1 Magnetic Resonance Imaging 본 챕터에서는 MRI에 대한 소개를 하고 있다. - MRI : modality(=의료 영상 획득 장비를 일컫는 말)의 하나로, 다른 modality로는 CT, X-Ray 등이 있다. - MRI의 다른 표현들 MR imaging = MRI = MRI imaging = NMR (nuclear magnetic resonance) 모두 같은 표현이다. (사실상 MRI imaging은 약간은 어색한 표현. MR imaging이 정확하다.) 하지만 NMR 용어에서 ..

이 글에서는 MRI의 기본적인 image인 T1, T2 weighted image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T1, T2 weighted image를 T1, T2 relaxation time을 통해 취득하므로 해당 내용 역시 포함될 예정) 2. T1, T2 image T1, T2 image의 정의를 보자면 다음과 같다. T1 weighted image : 횡자화되었던 수소원자가 다시 종자화로 돌아오는 과정(longitudinal magetization)이 63% 진행된 시간을 T1 relaxation time이라고 한다. (종자화 63% 회복상태) 이를 이용한 영상이 T1 weighted MR image이다. T2 weighted image : 100%의 횡자화 상태에서 종자화가 진행되면서 횡자화가 줄..

Modality 중 MRI에 대해 기본부터 차근차근 정리하고자 합니다. 기본 원리부터 MR imaging을 위한 MR physics와 MR imaging까지 모두 다룰 예정입니다.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 자기공명영상 1. 기본 원리 MRI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수소원자의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신체 기관을 촬영합니다. 따라서 수소원자에 대해 먼저 알아보고, 수소원자의 변화가 어떠한 의미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수소원자는 그림과 같이 핵을 중심으로 전자가 공전합니다. 전자가 공전하므로, 전자의 흐름(전류)이 생기고, 전류가 생기므로 자기장이 형성됩니다. 이 때, 오른손 법칙에 의해 다음 그림과 같이 자기장의 벡터 방향이 결정됩니다. 즉, 수소의 자전축 방향으로 자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