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git
- 평가지표
- Emoji
- FSL
- AWS
- pytorch
- Cost Function
- Map-reduce
- kernel
- ubuntu
- Homogeneous Coordinates
- MRI
- EC2
- MySQL
- x-ray
- nodejs
- error
- 동차좌표계
- ml
- Dual energy X-ray
- CT
- relaxation time
- NRMSE
- ssl
- Anaconda
- coursera
- object detection
- procedure
- https
- pm2
- Today
- Total
Pay it Forward
[Term] Homogeneous Coordinates (동차좌표계) 란? 본문
동차좌표계는 뭘까?
컴퓨터그래픽스 분야 및 OpenGL에서 주로 나오며 본인의 경우 X-ray를 공부하다가 접하게 된 개념으로,
위키백과에 따르면 Homogeneous Coordinates(=Homogeneous Space)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 n차원 사영 공간을 n+1개의 좌표로 나타내는 좌표계 "
위의 정의에 단순히 숫자 3을 대입해보면, 3차원 사영공간을 4개의 좌표로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이 4개의 좌표를 (x,y,z,w)라고 하자.
3차원을 나타내므로 x,y,z는 각각 x좌표, y좌표, z좌표를 나타낼 것이다.
그렇다면 w는 무엇을 나타낼까?
w가 0이라면 선(vector)을, 1이라면 점(point)를 의미한다.
"w=0" means "(x,y,z)" is the vector
"w=1" means "(x,y,z)" is the point
즉, homogeneous coordinates에서의 (1,2,2,0)은 (1, 2, 2)의 vector를 의미하며,
(1,2,2,1)은 (1, 2, 2)의 점(point)을 의미한다.
왜 동차좌표계를 사용할까?
위의 예를 이어서, 3차원을 나타내기 위해 3개의 element만 사용한다면,
(x,y,z)가 point인지 vector인지 알 수 없지만 Homogeneous Coordinates로 나타낸다면 w를 통해 이를 표현할 수 있다.
추가로 벡터, 점의 이동 및 회전등을 matrix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References
'Machine Learning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가지표] evaluation metrics for classification (정확도, 정밀도, 민감도, 회수율, F1 score, 특이도, PPV, NPV 등) (0) | 2021.02.09 |
---|---|
[평가지표] ROC curve와 AUC (0) | 2021.01.28 |
[ML] KNN 알고리즘이란? (0) | 2020.07.25 |
[ML] 인공지능 Object Detection에서의 mAP란? (1) | 2020.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