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git
- 평가지표
- Cost Function
- Emoji
- object detection
- NRMSE
- Homogeneous Coordinates
- CT
- ml
- error
- pytorch
- pm2
- AWS
- procedure
- EC2
- relaxation time
- x-ray
- nodejs
- Map-reduce
- kernel
- ssl
- coursera
- FSL
- Anaconda
- MySQL
- MRI
- ubuntu
- Dual energy X-ray
- https
- 동차좌표계
Archives
- Today
- Total
Pay it Forward
[X-ray] Dose vs Exposure (Exposure 도출 공식) 본문
728x90
X-ray는 방사선을 사용하여 촬영하는 기기이므로, 방사선량이 중요한 factor로 작용한다.
이러한 방사선량을 나타내는 값(dose, exposure)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Dose와 exposure은 비슷하면서도 미묘한 차이점을 갖는다.
Exposure (조사선량) | Dose (흡수선량) | |
정의 | 공기중에 생선된 radiation량 | 물체에 흡수되는 radiation량 |
단위 | $R$(Roentgen), $C/kg$(Coulombs per kg) $1 R = 2.58 * 10^{-4} C/kg $ |
$rad$, $Gy$(Gray), $J/kg$(Joule per kg), $Sv$(Sievert) $ 1 Gy = 1 Sv = 1 J/kg = 100 rad $ |
$ 1 R = 10^{-2} Sv $ |
Exposure은 공기중에 생성된 radiation량을 의미하며 조사선량이라 한다.
Dose는 물체에 흡수할 것으로 예상되는 radiation량으로 흡수선량이라고 한다.
즉, X-ray tube에서 생성되어서 공기중으로 나온 radiation량이 exposure과 유사하고,
dose는 이러한 exposure중에서 X-ray를 촬영하는 물체에 흡수되는 radiation량이다.
** 주로 photoelectric absorption과 compton scattering 현상에 의해 물체에 축적된다.
Exposure(단위 $R$)과 dose(단위 $Sv$)는 정비례하며 정확히는 아래와 같은 관계식을 갖는다.
$ 1R = 10^{-2}Sv $
Exposure 계산 공식
아래 내용은 해당 글을 번역해놓은 수준입니다.
Exposure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유사하게 값을 도출할 수 있다.
Parameter | Description |
mA (tube current; 전류) | X-ray tube에 흐르는 전류로, 높을수록 더 많은 X-ray photon을 생성한다. Image contrast 변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단순히 exposure양만을 조절할 때 가장 많이 수정되는 값이다. |
kVp (tube voltage; 전압) | X-ray tube에 걸리는 전압으로, 높을수록 X-ray photon의 운동이 가속화되며 더 큰 energy를 갖게한다. 수식에서도 알 수 있듯이 exposure 변화에 가장 영향력이 크며, image contrast에도 변화를 유발하므로 조심히 변경되어야 하는 값이다. (kVp가 높을수록 비슷한 조직간 contrast가 줄어들며 compton scatter event가 더 잘 발생하므로 이미지가 잘 나오는 한에서는 가장 작은 kVp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
s (second; 시간) | Exposure time으로, 길수록 exposure은 증가하지만 motion artifact가 생길 위험도 역시 증가한다. |
SID (source to image distance; 거리) | X-ray source와 detector(혹은 receptor)간의 거리이다. |
Bucky (scatter grid factor) | Grid에 도착한 X-ray exposure량과 detector에 도착한 exposure량 간의 비율(ratio)이다. |
References
https://howradiologyworks.com/xraycalc/
https://www.epa.gov/radnet/what-relationship-between-exposure-rate-and-dose-rate
728x90
'Bio, Medical > X-ray & 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X-ray] X-ray 기초_2. X-ray 발생 원리와 종류 (characteristic X-ray, bremsstrahlung X-ray) (2) | 2021.09.21 |
---|---|
[X-ray] X-ray 기초_1. X-ray란? (+ Ionization & Excitation) (0) | 2021.09.03 |
[X-ray, CT] Dicom 파일 header 분석 및 python으로 dicom 다루기 (2) | 2021.08.12 |
[X-ray] HU: Hounsfield unit이란? (4) | 2021.07.22 |
[X-ray] Dual Energy X-ray란? (DXA) (6) | 2021.04.01 |
Comments